-->
zKgrs6zB85hFXVVYWSgviTSlJUgaUFEUTuteYZ8X
Bookmark

기계설비 기술기준 해설: 급수·급탕 설비 설계 가이드


건축물 및 시설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급수•급탕 설비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를 적절하게 설계하지 않으면 위생 문제, 수압 불균형, 온수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기계설비 기술기준에 따라 급수 및 급탕 설비의 설계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기계설비 기술기준: 급수·급탕 설비 설계 가이드


2. 급수 설비 설계 기준

2.1 급수설비의 기본 원칙

급수설비는 음용수 공급, 위생기구 사용, 조리, 세탁, 의료 및 산업 공정 등에 사용되는 물을 위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 음용수 공급 분리: 음용수를 사용하는 모든 설비에는 비음용수와 혼합되지 않도록 별도의 배관을 설치해야 합니다.

  • 수압 조절 장치 적용: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과도한 수압으로 인한 설비 손상을 방지하고, 일정한 수압을 유지해야 합니다.

  • 절수 설계 반영: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43조에 따라, 급수설비는 절수형 기구를 사용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2.2 급수관 설계 기준

급수관의 크기(호칭지름) 선정 기준 급수관의 크기는 순간 최대 유량, 허용 손실수두, 유속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배관 유량 선도를 활용하여 산정해야 합니다.


2.3 급수펌프 설계 기준

1) 고가수조용 양수펌프

  • 유량은 시간 최대 예상 급수량을 기준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 예비펌프를 함께 설계하여 교대 운전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2) 자동부스터 급수펌프 유닛

  • 유량은 순간 최대 예상 급수량을 기준으로 설정해야 하며, 2대 이상의 펌프를 포함해야 합니다.


2.4 저수조 설계 기준

저수조는 급수의 위생적 보관을 위해 구조적으로 안전해야 하며, 오버플로 방지 및 청소 용이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오버플로 호칭지름 기준 (단위: mm)

최대 급수량(l/s)오버플로 호칭지름(A)
0~350
3~965
9~1280
12~25100
25~41125
41~63150
63 이상200
  • 오버플로 관의 토출구는 지면에서 최소 150mm 이상 이격해야 합니다.

  • 내식성 방충용 철망 또는 역류 방지 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2.5 위생기구의 급수 설계 기준

급수 토출량 및 최소 필요 수압 (단위: l/s, kPa)

위생기구유량(l/s)최소 필요 수압(kPa)
욕조0.2555
샤워기0.1870
대변기(세정탱크)0.1855
싱크대(가정용)0.1555
세탁기0.2555

2.6 급수 오염 방지 대책

  • 음용수와 비음용수 배관을 명확히 분리해야 합니다.

  • 위생기구 급수배관에는 역류 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오염을 방지해야 합니다.


2.7 비상급수시설 기준

  • 공동주택은 매 세대당 최소 0.2톤(시ㆍ군 지역은 0.1톤) 이상의 비상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비상 전원 및 펌프를 설치하여 정전 시에도 급수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3. 급탕 설비 설계 기준

3.1 급탕 설비의 설계 원칙

  • 위생적이고 균일한 온도 유지: 급탕수는 60℃ 이하로 유지해야 하며, 급탕배관은 내식성 및 내열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 온수 공급 안정성 확보: 급탕설비는 순환펌프 및 환탕배관을 활용하여 일정한 급탕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3.2 급탕배관 및 기기 설계 기준

  • 급탕배관의 호칭지름은 순간 최대 유량을 기준으로 산정해야 합니다.

  • 급탕 배관 길이는 급탕 열원부터 위생기구까지 15m 이내로 제한해야 합니다.

  • 환탕관 유량은 열 손실을 고려하여 균일하게 분배해야 합니다.


3.3 급탕가열장치 설계 기준

  • 난방 겸용 급탕 가열장치는 온도조절밸브를 사용하여 급탕 배관의 온도를 60℃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 압력 릴리프 및 온도 릴리프 밸브의 배출관은 배수구 공간으로 배출해야 하며, 직접 배관에 연결해서는 안 됩니다.


3.4 급탕탱크 및 부속장치 설계 기준

  • 급탕탱크 재질: STS 316L 이상의 내열성 및 내식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 급탕탱크의 배수 시스템: 배수 밸브를 설계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해야 합니다.

  • 온도제어장치: 급탕 온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3.5 급탕순환펌프 및 급탕온도 제어

  • 순환펌프의 유량은 환탕배관의 환탕유량을 기준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 급탕순환펌프는 급탕이 필요하지 않을 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정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급탕가열장치의 온도 조절기만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온도 제한 장치 또는 혼합 장치를 활용하여 위생기구의 급탕온도를 43℃ 이하로 제한해야 합니다.



급수•급탕 설비의 설계는 단순히 물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 위생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본 가이드를 통해 급수•급탕 설비를 기계설비 기술기준에 맞게 설계하고, 건축물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시공 기준에 대해 다루겠습니다.